2030 홍성군 도시재생 전략계획 수립용역
가이드라인 등 법, 제도 개정에 따른 여건 변화 등을 반영하여 홍성군 도시재생전략계획 변경 수립
2030 홍성군 도시재생 전략계획 수립용역
가이드라인 등 법, 제도 개정에 따른 여건 변화 등을 반영하여 홍성군 도시재생전략계획 변경 수립

[위치] 홍성군 도시지역 전역

[날짜] 2024.09.

[발주] 충청남도 홍성군

「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」 및 같은법 시행령, 국가도시재 생기본방침, 도시재생전략계획 수립 가이드라인,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수립 가 이드라인 등 법・제도 개정에 따른 여건 변화 등을 반영하여 홍성군 도시재생전략계획 변경이 필요하며,  도시재생 정책변화에 따라 기존 도시재생전략계획 변경 및 재수립 필요하다.


「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」 제15 조 규정에 의거 도시재생과 관련한 각종계획, 사업, 프로그램, 유·무형의 지 역자산 등을 조사·발굴하고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을 지정하는 등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홍성군 도시재생전략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.

도시재생의 비전 및 목표

도시재생전략계획의 비전은 홍성이 천년 역사를 가진 고도(古都)라는 점을 강 조함과 동시에 홍성이 가진 천년역사와 다양한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역사와 문화, 사람과 도시을 연결시키는 도시재생을 이루자는 의미에서 「천년의 도 시 홍주, 주민 역사 문화 중심 도시만들기」로 설정했습니다.

목표별 추진전략

1. 신도심과 구도심의 균형 발전

- 역사자원과 연계한 독창적 재생 : 지역의 역사자원을 활용하여 도시재생 추진

- 인적자원을 활용한 창의적 재생 : 지역 내 대학과 연계하여 지역의 개성 창출

- 주민역량을 활용한 지속적 재생 : 주민협의체 등의 참여와 노력으로 지속적인 재생

2. 쾌적한 주거환경조성으로 삶의 질 향상

- 생활기반시설 정비 : 도시계획도로, 주차장 개설 등 부족한 생활기반시설을 정비

- 안전을 고려한 환경 정비 : CPTED 등 안전을 고려한 지역 내 환경 정비

- 소외지역 정비 : 환경적으로 매우 열악한 주요사업 배제지역의 우선 정비

3. 일자리 창출 및 골목상권 강화 등 지역경제 활성화

- 차별화된 상권형성 유도 : 상품, 서비스, 가로환경 등의 특화하여 상권 형성

- 풀뿌리 경제활동 지원 : 마을기업, 사회적 기업, 협동조합 창업지원

- 지역 핵심사업과 연계 : 산업지원 시설 확충 및 대학과 연계한 산․학 연계

4. 활발한 시민참여로 지역공동체 활성화

- 시민참여제도 정비 : 재생사업에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마련

- 시민참여 지원조직 정비 : 도시재생지원센터 등을 조성하여 시민과의 가교역할 마련

- 참여형 프로그램 개발 : 재생사업 공모를 통해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 유도

도시재생권역 설정 및 권역별 재생방안

floating-button-img